본문 바로가기
게임 공략/극한탈출 시리즈

극한탈출 시간의 딜레마 <서재> 방탈출 공략

by 김진격 2025. 7. 22.
반응형

 

- 중앙 책상의 서랍을 조사해서 '인형 마크의 열쇠'를 입수한다.

 

 

- 계단 오른쪽에 획득한 열쇠와 같은 마크가 있는 금고에 '인형 마크의 열쇠'를 사용한다.

 

- 금고 내부에서 '부품 D', '별 마크의 열쇠', '대형 자동 권총', "조류 인간의 마크카드"을 입수한다.

 

 

- 벽난로 오른쪽에 있는 별 모양의 금고에 '별 마크의 열쇠'를 사용한다.

 

- 금고 내부에서 '부품 C', "달의 마크 카드", "메모 1"을 입수한다.

 

- 계단을 이용하여 2층으로 올라가면 바닥에 떨어진 문서가 있다. 조사하면 "몽고 지방 인형의 비밀 1"을 입수한다.

 

- "몽고 지방 인형의 비밀 1"은 긍정포즈와 부정포즈의 몽고 지방 인형에 대해서 알려주는데, 2층에 있는 달 문양의 금고 위에는 긍정포즈의 인형이 있으므로 "달의 마크 카드"에 적혀 있던 NIL을 그대로 입력한다.

 

- 입력에 성공하면 금고가 열리고, 금고 내부에서 '부품 E', '크로스보우', "태양의 마크 카드"를 입수할 수 있다.

 

 

- 이제 1층으로 가서 태양 문양 금고를 보면 "태양의 마크 카드"에는 NIL이라고 적혀 있으나 5자리 단어를 입력해야 한다.

 

- 금고 위에 부정 포즈의 인형이 있으므로, NIL과 반대되는 글자를 입력해야 하고 5글자이므로 EXIST를 입력해야 한다.

 

- 금고 내부에서 '부품 F'를 입수할 수 있고, 금고 내부에서 레버를 발견할 수 있다. 이를 조사해서 작동시키자. 

 

- 그럼 의자에 전원이 들어오고, 의자를 조사해 아까 입수했던 "메모 1"에 적혀 있던 S-02-16을 입력하자.

 

- 그럼 의자가 움직이는 이벤트가 발생하고, "몽고 지방 인형의 비밀 2"를 입수한다.

 

- 풀의 춤은 뒤로 3칸, 모래의 춤은 5칸, 바람의 춤은 7칸 뒤로 옮긴다고 한다.

 

 

- 책상에 놓여진 인형들이 이 포즈를 취하고 있는데, 왼쪽부터 모래의 춤, 풀의 춤, 바람의 춤, 모래의 춤 순서이다.

 

- 따라서 뒤로 5칸, 3칸, 7칸, 5칸 이동이 필요하다.

 

 

 

- 아까 전에 입수했던 "조류 인간의 마크 카드"가 4자리 알파벳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, 이 알파벳을 각각 5,3,7,5 뒤로 이동시키면 MIND가 완성된다.

 

- MIND를 문자 위에 있는 조류 인간 마크가 새겨 진 자물쇠에 입력하면 '부품 B'와 "메모2" 를 획득할 수 있다.

 

- "메모 2"에는 C팀에게 탄환, Q팀에게 화살이라고 적혀 있다.

 

 

- 이제 벽에 있는 그림의 C팀에게 '대형 자동권총'을 사용해서 탄환을 맞추도록 하자.

 

- 카를로스는 윗줄 중앙, 준페이는 가운데줄 왼쪽, 아카네는 윗줄 오른쪽이다.

 

- 다음은 Q팀에게 화살을 맞춰야 하므로 '크로스 보우'를 사용해 Q팀을 맞추자.

 

- Q는 정중앙, 에릭은 가운데 줄 오른쪽, 미라는 아래줄 오른쪽이다.

 

- 제대로 맞췄다면 그림 중앙 부분이 열리고, 그 안에서 '그레네이드 런쳐'를 입수할 수 있다.

 

 

- '그레네이드 런쳐'를 1층에 있는 유리 금고에 사용하면 이벤트가 발생하고 금고가 해제된다.

 

- 금고 안을 조사하면 '부품 A', "메모 3"을 입수할 수 있다.

 

- "메모 3"에는 J-05-03이 적혀 있지만, 금고 위에는 바람의 춤을 추는 인형 3개가 있다. 따라서 J-05-03을 7개씩 뒤로 이동시키면 Q-12-10이 된다.

 

- Q-12-10을 의자에 입력하면 "무언가의 설계도"를 얻을 수 있다.

 

- 설계도에 맞춰서 부품들을 조합하자.

 

- A와 B, C와 D, E와 F를 먼저 결합하고, AB와 CD를 결합한 다음에, ABCD와 EF를 결합하면 '합체열쇠'가 완성된다.

 

- 가장 커다란 금고에 '합체열쇠'를 사용하면 방탈출 파트를 완료한다.

 

- 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데, ERIC, MIRA, NO ONE 세가지를 입력함에 따라 분기가 갈리게 된다.

 

 

반응형

댓글